top of page
나프카_로고_H_홈.png
napca_logo_abbr.png
bg_logo.gif
napca_logo_blue.png

NAPCA 입니다.

1979년 이래, 전국 아시아 태평양 노인센터 NAPCA는 언어나 문화적 배경에 상관없이 노인들의 복지와 자립을 위해 필수적인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그 필요성을 대변함으로써 노인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힘써 왔습니다. 

​더 보기
scsep.jpg
그라데이션_스플래시.png

SCSEP 예산 중단으로

저소득 노인 20,000명 이상이

무급휴직 상태에 놓였습니다.

미국 노동부의 연방 자금 지원이 전례 없이 지연됨에 따라, NAPCA는 노인 공익 취업 프로그램(SCSEP)에 참여하고 있는 800명 이상의 노인을 불가피하게 무급휴직 조치하게 되었습니다.

아치스톤3.jpg
그라데이션_아치스톤.png

아치스톤 재단의 후원으로

아태노인센터의

간병 프로그램 연장

아치스톤 재단이 간병프로젝트 지원을 2년 더 연장했다는 기쁜 소식입니다. 

여기에서 읽어보시거나 영상을 시청하세요.

아치스톤3.jpg
그라데이션_아치스톤.png

APIAHF, EVAC 파트너 NAPCA 방문

몇 달 전, APIAHF의 니엔 르(Nhien Le), 릴리 센(Lily Shen), 키아나 트리아나(Kiana Triana), 소피아 카리미(Sofia Karimi)가 NAPCA의 시애틀 본부를 방문하여 NAPCA가 EVAC(아시아/하와이/태평양계 커뮤니티 성인 예방접종 참여 사업) 파트너 중 하나임을 조명하는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asknapca_17.jpg
그라데이션_스플래시.png

Ask NAPCA 칼럼 #17

65세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 보험 혜택에 변화를 겪게 됩니다. 메디케이드 혜택이 종료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불안하거나 좌절감을 느끼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이번 달 칼럼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는 이유와 아직 이용 가능한 옵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레티시아-3.jpg
그라데이션_스플래시.png

"하는 일에 만족하기 때문에

제가 더 젊어진 것 같아요."

노인 공익 취업프로그램 (SCSEP)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레티시아 이디오 씨가 자신의 경험을 나눕니다.

존경3.jpg
그라데이션_스플래시.png

노인들이 존엄성을 지키면서

존중받으며 살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여러분의 크고 작은 후원은, 아시아/하와이/태평양계  (AANHPI) 노인의 존엄성, 복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해 전국 최고의 옹호 및 서비스 기관으로서 사명을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bg_logo.gif
더 보기

최근 소식

나프카_뉴보드.jpg

NAPCA는

비만 치료 및 감소법

(Treat and Reduce Obesity Act) 

재발의를 지지합니다

NAPCA는 상원의원 빌 캐시디 (Bill Cassidy, 루이지애나주 공화당)와 벤 레이 루한 (Ben Ray Luján, 뉴멕시코주 민주당)이 상정한 비만 치료 및 감소법(TROA)의 재발의를 환영합니다.

나프카_뉴보드.jpg

NAPCA, 새 이사회 멤버 2명 영입

저스티나 조 (Justina Cho) 오드리 경요 유 (Audrey Kyoungyo Yoo)는 2024년 10월에 이사회에 합류했습니다.

나프카_뉴하이어.jpg

NAPCA, 3명의 새로운 팀 멤버를 환영합니다

오카 켄차나와티 (Oka Kencanawati): 회계사

사라 졸린 (Sarah Joehlin): SCSEP 케이스 매니저(시카고)

엘렌 맥펄 (Ellen McFall): SCSEP 케이스 매니저(시카고)

필립제이슨.gif

NAPCA SCSEP의 새로운 협력 기관

필립 자이손 기념재단 과의 새로운 협력관계를 기대합니다.

나프카_뉴보드.jpg

SCSEP 자금 지원 중단으로 저소득 노인 2만 명 이상 일시 휴직

미국 노동부의 노인 공익 취업 프로그램(SCSEP)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이 전례 없이 지연됨에 따라, NAPCA는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던 800명 이상의 노인을 부득이하게 강제로 휴직시켜야 했습니다.

asiancall.jpg
그라데이션_스플래시.png

250,000+

2004년

다국어 상담전화 헬프라인 개통

2004년에 설립된 아태노인센터의 다국어 전화상담실은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미국 전역의 아시아/하와이/태평양계 노년층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오바마케어 마켓플레이스 건강보험, 사회보장 혜택, 최저생계비 지원, 식료품비 보조, 저소득 가정 에너지 지원금, 예방접종 등의 서비스를 찾고 이용하도록 돕습니다. 다국어 전화상담실은 지금까지 25만 건 이상의 전화에 응답하고 4만 건 이상의 복지혜택 등록을 도왔습니다. 현재 중국표준어, 중국광동어, 한국어, 베트남어와 영어로 연간 15,000건 이상의 전화상담을 처리합니다.

NAPCA 뉴스레터 신청

bg_logo.gif
bottom of page